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로 설치한 리눅스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겠습니다.

 

먼저 Vmware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선 네트워크 모드에 대해 알아보아야 합니다.

 

Vmware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모드는 3가지가 있습니다.

1. Bridge 모드 : Host PC가 공유기에 연결되었을 경우 Virtual Machine도 공유기의 사설 IP를 받아옵니다.

  - Internet과 통신이 가능합니다.

2. NAT 모드 : Host PC로부터 NAT를 위한 공인 IP를 받아오며, Vmware 에선 NAT에 쓰일 사설대역의 IP를 받습니다. 

  - Internet과 통신이 가능합니다.

3. Host-Only 모드 :  외부 네트워크와 온전히 차단되며, VMware의 자체 네트워크로만 구성됩니다.

  - Internet과 통신이 불가합니다.

 

오늘은 보편적으로 쓰이는 NAT모드에 대해 구성해보겠습니다.

 

먼저 Edit > Virtual Editor 경로로 접속합니다.

Virtual Network Editor는 VMware의 전체 네트워크 어댑터를 구성하는 관리자 툴입니다.

아래를 보시면 Vmnet1(Host-only)과 VMnet8(NAT)이 기본 값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Vmware를 벗어나 Windows + R > ncpa.cpl 경로로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에 접근하면,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어댑터가 구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다시 Vmware로 돌아와 Change Setting을 클릭합니다.

 

사실 여기서 설정값을 바꿀건 없습니다.

우리가 확인해야 할 것은..

NAT로 설정이 되어있는지, Virtual Adapter와 연결되어 있는지, DHCP Service로 IP를 받아오는지

이 3가지만 확인하고 OK를 누르시면 됩니다.

이제 상단의 VM > Setting을 클릭하시거나 CTRL + D를 누르시기 바랍니다.

Custom에서 VMnet8(NAT)를 선택하시고, OK를 클릭합니다.

VM상에서 NAT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은 모두 끝났습니다.

이젠 OS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겠습니다.

그런데.. 이게 무슨일? ifconfig 명령어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minimal 버전으로 설치해서 그런가본데, ifconfig도 동작하지 않을줄은 몰랐습니다..ㅠㅠ

그러면 일단 Network 설정파일을 확인해보겠습니다.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대부분 ONBOOT=no로 설정되어 있으실겁니다. (초기에 Network 설치부분을 건드리지 않는 한에서)

이더넷이 물리적으로 꺼져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yes로 변경 후 서비스 재시작을 수행하면 됩니다.

우리는 vi같은 편집기를 이용하여 저 내용을 변경하겠습니다.

아래 명령어를 그대로 입력 바랍니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s/ONBOOT=no/ONBOOT=yes
ESC누른 후
:wq

다시 네트워크 설정파일을 확인하겠습니다.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ONBOOT=yes로 변경되었다면, 아래 명령어를 수행 바랍니다.

systemctl restart network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systemctl status network //네트워크 서비스 상태 확인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active 활성화 되어있어야 합니다.

이제 구글서버로 Ping test를 수행하겠습니다.

ping 8.8.8.8

정상적으로 외부와 네트워크 구성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패키지 깔 준비는 되었군요ㅎㅎ

다음시간엔 Linux의 다양한 명령어들, 혹은 Vmware의 기능들을 알아보겠습니다.

'Infra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CentOS 7 Linux 가상머신 설치(VMware)  (0) 2022.07.28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를 이용하여 Linux 가상머신을 설치하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미리 CentOS 7의 ISO 파일을 받아두세요.

카카오의 미러 서버를 이용하여 운영체제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mirror.kakao.com/centos/7.9.2009/isos/x86_64/CentOS-7-x86_64-DVD-2009.iso

 

신규 Vmware 설치를 위해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합니다.

 

첫번째 단계로 어떤 타입의 설정을 진행할지 물어보는데요,

Typical 모드는 자동적으로 설정값을 맞추어주며 설치를 도와주고,

Custom 모드는 모든 설정값을 사용자가 설정해야합니다.

  * 예를들어 CPU나 Memory, HDD 연결방식, Network 모드 등 다양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Typical 모드로 간단하게 설치를 진행하겠습니다.

Typical 선택 후 다음단계를 진행합니다.

 

Browse를 클릭 후 ISO 파일을 받아온 뒤, 다음단계를 진행합니다.

 

OS 이름을 설정한 후 설치 경로를 확인한 뒤 다음단계를 진행합니다.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 가상 디스크를 하나의 파일로 설정(혹은 저장)합니다.

  - 가상 디스크를 하나로 설정할 시 하나의 큰 용량을 가진 파일 형태로 남게되고,

Split virtual disk into muliple files : 가상 디스크를 여러개의 파일로 설정(혹은 저장)합니다.

  - 가상 디스크를 여러개 파일로 설정할 시 디스크가 쪼개어진 파일의 형태로 저장됩니다.

  - 단, multiple files 모드로 설정한 디스크의 용량이 커질 시 효력이 크게 줄어든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모드를 선택하여 설치를 진행하겠습니다.

 

Finish를 누르면 VM 설치를 위한 하드웨어적 설정은 모두 끝나게됩니다.

 

이제 실제 OS 설치를 진행할 차례입니다.

이전에 Power on this virtual machine after creation을 클릭하셨다면, Finish를 누른 직후

바로 OS 설치 화면으로 넘어갈 것입니다.

그러지 않을 경우 상단의 재생버튼 혹은 CTRL + B를 입력하여 Virtual Mahcine을 실행바랍니다.

 

설치화면이 출력될시 Install CentOS 7을 선택하고, Enter를 누릅니다.

참고로, VM 안으로 들어가는 방법은 커서를 화면안에 누르는 것이고,

VM 안에서 빠져나오는 방법은 CTRL + ALT를 누르면 됩니다.

Enter 키를 입력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합니다.

일련의 설치 과정이 진행되면, CentOS를 설정할 수 있게됩니다.

처음은 언어설정의 단계입니다. 입맛에 맞게 언어를 설정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English를 매우매우 권장합니다.)

 

이어 진행하면, 자체 설정 메뉴가 등장합니다.

이 3개는 건너 뛰고 아래를 봐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INSTALLATION SOURCE를 보겠습니다.

어떤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할지 선택합니다. 우리는 사전에 설치한 ISO 파일로 설치를 진행할 것이기에

Verify 버튼 한번 눌러줌으로 파일의 무결성을 확인한 뒤 Done을 눌러줍니다.

다음은 SOFTWARE SELECTION입니다.

다양한 설치모드가 있지만, 최소한의 모드로 설치하기 위해 Minimal Install을 선택한 후 설치를 진행할 것입니다.

추후 원하는 패키지는 네트워크 설정 후 설치할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다음은 INSTALLATION DESTINATION 설정입니다.

어떠한 HDD에 설치할 지 정할 수 있습니다. VMware, VMware Virtual S하드디스크를 선택 후 진행합니다.

이제 나머지 단계를 확인해야겠죠?

KDUMP는 그대로 둡니다. (커널의 시스템 충돌 등 장애발생 시 그 내용을 덤프로 생성하는 유틸리티입니다.)

Network & Host NAME도 차후 설정할 수 있으니 그대로 둡니다.

SECURITY POLICY도 그대로 두고, Begin Installation을 클릭합니다.

이제 root 패스워드를 설정합니다. root는 리눅스에서 최고 권한을 가진 계정으로,

Windows의 Administrator와 같은 역할을 지니기 때문에 강력한 보안 패스워드를 설정해야합니다.

강력한 보안 패스워드의 기준은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혼합한 9자리 이상의 패스워드입니다.

이번엔 설치 연습이니 쉬운 것으로 설정하겠습니다.ㅎㅎ

Done을 누르는순간 여러 설치과정이 자동적으로 진행됩니다. 약 5분~10분 정도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과정이 끝나게 되면, Reboot 버튼을 누를 수 있게 됩니다.

Reboot을 진행합니다.

 

CentOS 부팅이 완료되었습니다.

사전에 설정한 root 계정으로 로그인 바랍니다.

여기까지 VMware를 이용한 Linux 설치과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후 네트워크 설정 및 계정 설정등 다양한 과정을 진행해보겠습니다.

'Infra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Linux 네트워크 구성(VMware)  (0) 2022.07.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