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로 설치한 리눅스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겠습니다.
먼저 Vmware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선 네트워크 모드에 대해 알아보아야 합니다.
Vmware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모드는 3가지가 있습니다.
1. Bridge 모드 : Host PC가 공유기에 연결되었을 경우 Virtual Machine도 공유기의 사설 IP를 받아옵니다.
- Internet과 통신이 가능합니다.
2. NAT 모드 : Host PC로부터 NAT를 위한 공인 IP를 받아오며, Vmware 에선 NAT에 쓰일 사설대역의 IP를 받습니다.
- Internet과 통신이 가능합니다.
3. Host-Only 모드 : 외부 네트워크와 온전히 차단되며, VMware의 자체 네트워크로만 구성됩니다.
- Internet과 통신이 불가합니다.
오늘은 보편적으로 쓰이는 NAT모드에 대해 구성해보겠습니다.
먼저 Edit > Virtual Editor 경로로 접속합니다.
Virtual Network Editor는 VMware의 전체 네트워크 어댑터를 구성하는 관리자 툴입니다.
아래를 보시면 Vmnet1(Host-only)과 VMnet8(NAT)이 기본 값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Vmware를 벗어나 Windows + R > ncpa.cpl 경로로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에 접근하면,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어댑터가 구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다시 Vmware로 돌아와 Change Setting을 클릭합니다.
사실 여기서 설정값을 바꿀건 없습니다.
우리가 확인해야 할 것은..
NAT로 설정이 되어있는지, Virtual Adapter와 연결되어 있는지, DHCP Service로 IP를 받아오는지
이 3가지만 확인하고 OK를 누르시면 됩니다.
이제 상단의 VM > Setting을 클릭하시거나 CTRL + D를 누르시기 바랍니다.
Custom에서 VMnet8(NAT)를 선택하시고, OK를 클릭합니다.
VM상에서 NAT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은 모두 끝났습니다.
이젠 OS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겠습니다.
그런데.. 이게 무슨일? ifconfig 명령어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minimal 버전으로 설치해서 그런가본데, ifconfig도 동작하지 않을줄은 몰랐습니다..ㅠㅠ
그러면 일단 Network 설정파일을 확인해보겠습니다.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대부분 ONBOOT=no로 설정되어 있으실겁니다. (초기에 Network 설치부분을 건드리지 않는 한에서)
이더넷이 물리적으로 꺼져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yes로 변경 후 서비스 재시작을 수행하면 됩니다.
우리는 vi같은 편집기를 이용하여 저 내용을 변경하겠습니다.
아래 명령어를 그대로 입력 바랍니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s/ONBOOT=no/ONBOOT=yes
ESC누른 후
:wq
다시 네트워크 설정파일을 확인하겠습니다.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ONBOOT=yes로 변경되었다면, 아래 명령어를 수행 바랍니다.
systemctl restart network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systemctl status network //네트워크 서비스 상태 확인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active 활성화 되어있어야 합니다.
이제 구글서버로 Ping test를 수행하겠습니다.
ping 8.8.8.8
정상적으로 외부와 네트워크 구성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패키지 깔 준비는 되었군요ㅎㅎ
다음시간엔 Linux의 다양한 명령어들, 혹은 Vmware의 기능들을 알아보겠습니다.
'Infra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CentOS 7 Linux 가상머신 설치(VMware) (0) | 2022.07.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