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직에서 보안쪽과 인프라를 만지고 있는데,

컴퓨터 언어의 세계는 다른 세계관 인 것 같습니다...ㅎㅎ

배움의 늪이 깊어질 때마다 내 발목도 늪으로 빠지는 기분이랄까요??

 

개념을 잘 잡아야할텐데 걱정이 많습니다.

 

아무튼

 

오늘은 using 지시문 개념에 대해 파악해보겠습니다.

 

using을 Microsoft에서 정의한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https://docs.microsoft.com/ko-kr/dotnet/csharp/language-reference/keywords/using-directive

한글이지만 이해하기 힘든건 저뿐인가요?

 

namespace안의 클래스를 사용하여 미리 정의된 일련의 코드를 참조하고 인용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즉, 코드를 단순화 해줍니다.

이 말고도 using에 문장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다음에 다뤄보겠습니다. 

 

이어서,

단순하게 아래의 출력문을 입력했을 때 빌드는 되겠지만, 이는 정상적인 코드가 아닙니다.

Console.WriteLine("Hi Hi");

 

기본적으로 System이라는 네임스페이스를 불러와 출력문을 아래와 같이 표현하는게 맞습니다.

System.Console.WriteLine("Hi Hi");

 

만약에 using을 사용하여 System 네임스페이스를 미리 호출해두어 System 네임스페이스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Console.WriteLine("Hi Hi");

이 계열로 using static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네임스페이스에서 더 안쪽으로 들어와 클래스를 호출하는 개념입니다.

System 네임스페이스 內 존재하는 Console 클래스를 불러와 출력문을 간소합니다.

using static System.Console;
WriteLine("Hi Hi");

이제 여기서 의문이 생기는건 네임스페이스와 클래스간의 관계이겠죠??

 

다음시간에 알아보겠습니다.ㅎㅎ

'IT Programing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Visual Studio 다중 프로젝트란?  (0) 2022.08.01
[C#] Visual Studio 프로젝트 제작  (0) 2022.07.27

안녕하세요.

 

오늘은 Visual Studio를 통해 다중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먼저,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가장 큰단위는 솔루션입니다.

 

솔루션 내에서 프로젝트를 여러개 구성함에 따라 프로젝트를 여는데 불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훨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결국 다른 프로젝트/프로그램이라 할지라도 동시 수정, 빌드가 가능합니다.

 

일단, 새 프로젝트와 솔루션을 먼저 구성합니다.

프로젝트 이름과 솔루션의 이름을 다르게 주었습니다.

프로젝트를 생성할 땐 콘솔 앱으로 구성합니다.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한 뒤 빌드하겠습니다.
namespace Using_First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Using First");
        }
    }
}

CTRL + F5를 입력하면 코드를 디버깅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정상적으로 문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Using Second라는 신규 프로젝트를 생성하며 현재 솔루션에 종속시키겠습니다.

솔루션 우클릭 > 추가 > 새 프로젝트

프로젝트 이름을 Using Seond로 입력합니다.

 

아래와 같이 Using Second가 Using 솔루션 밑에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Using Second에 다음 코드를 넣고, 

namespace Using_Second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Using Second");
        }
    }
}

솔루션 내에서 Using Second가 실행될 수 있도록 설정해주겠습니다.

프로젝트 우클릭 > 시작 프로젝트로 설정

시작 프로젝트로 설정하게되면, 디버깅 및 빌드되는 프로젝트를 고정합니다.

이제 CTRL+F5를 입력하면 Using Second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시작 프로젝트를 지정하는 기능 말고도, 다른 기능이 존재합니다.
솔루션을 우클릭 > 속성

솔루션의 속성 페이지에 접속하게 되었습니다.

아래와 같이 여러 개의 시작 프로젝트 모드로 설정하면,

CTRL + F5 입력시 한번에 여러개의 프로젝트가 빌드 되고,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아래와 같이 현재 선택 영역 모드로 선택하면,

본인이 작성중인 프로젝트에 한해 빌드가 가능합니다.

만약 Using First를 띄어놓으셨다면 그것을 빌드할 것이고, 다른 것을 띄어놓으셨다면 그것이 빌드됩니다.

 

이상으로 다중 프로젝트에 대한 개념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엔 Using의 개념부터 배우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IT Programing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using 지시문 개념 파악하기  (0) 2022.08.07
[C#] Visual Studio 프로젝트 제작  (0) 2022.07.27

안녕하세요.

 

오늘은 Visual Studio 프로젝트를 제작함으로써 기초적인 개발환경을 구축해보겠습니다.

 

일단 Visual Studio 2022를 실행합니다.

콘솔 앱을 실행하는데, C# 전용 콘솔 앱을 실행합니다.

이후 새 프로젝트의 이름을 설정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추가 정보 탭에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기본적인 명령줄과 함께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모든 내용을 지우고, 명령줄을 이용하여 Hello World!가 출력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겠습니다.

Console.Write Line("Hello World!");

입력 후 다음의 과정을 통해 .exe 파일로 생성 및 실행하겠습니다.

상단 디버그 > 디버그하지 않고 시작 혹은 Ctrl + F5를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래와 같이 Hello World!가 출력되는 점을 볼 수 있습니다.

 
명령줄에 대한 내용을 실행파일 뿐만 아니라, 대화형 콘솔을 이용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보기 > 다른 창 > C# 대화형을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프로젝트 창 하단에 Console이 형성됩니다.
형성된 Console에서 위와 같은 명령줄을 입력할 때 Hello World!가 출력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명령줄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할 때 요긴하게 사용될 뿐만 아니라, 연산대한 기능도 시험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기초적인 프로젝트 생성에 대해 확인하였고, 생성한 프로젝트의 경로를 확인하겠습니다.

프로젝트는 기본적으로 아래의 경로에 생성됩니다.

 

C:\Users\"사용자계정"\source\repos\"생성프로젝트"\"생성프로젝트"\

프로젝트에서 생성한 .exe 파일은 아래의 경로에 생성됩니다.

C:\Users\"사용자계정"\source\repos\"생성프로젝트"\"생성프로젝트"\bin\Debug\net6.0

 

오늘은 기초적인 프로젝트 구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엔 using의 개념부터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IT Programing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using 지시문 개념 파악하기  (0) 2022.08.07
[C#] Visual Studio 다중 프로젝트란?  (0) 2022.08.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