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네트워크 개념 - 1에 이은 파트를 진행하겠습니다.

https://infotech-study.tistory.com/10

 

[Infra_NW] 네트워크 개념 - 1

안녕하세요. 오늘은 통신의 기초가 되는 네트워크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네트워크라는 단어는 무궁무진합니다. 정의 자체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연결과정을 뜻하기에 수많은 예시

infotech-study.tistory.com

네트워크 개념 - 1에서 다룬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OSI 7계층 출범에 대한 배경
2. OSI 7계층의 계층별 간략 내용
3. TCP/IP 4계층과 OSI 7계층의 비교

 

오늘은 그 세부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OSI 7계층의 계층별 세부내용입니다.

이를 간소화 한 것이 TCP/IP 4계층입니다.

정리한 표를 첨부해드리니 참고 바립니다.

OSI7계층 및 TCP_IP 4계층.hwp
0.06MB

 

 

 

다음 시간엔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I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nfra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ra_NW] 네트워크 개념 - 1  (0) 2022.08.10
GNS3 IOS 이미지 적용  (0) 2022.07.23
GNS3 설치하기  (0) 2022.07.23

안녕하세요.

 

오늘은 통신의 기초가 되는 네트워크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네트워크라는 단어는 무궁무진합니다.

 

정의 자체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연결과정을 뜻하기에 수많은 예시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모두에게 개방되어 일상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2. 사내 데이터를 주고받는 폐쇄적인 인트라넷

 3. 자료를 생성하는 것부터 송신/수신하는 행위들

 

이것은 다 네트워크 개념안에 포함됩니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가장 기반이 되는 개념이 OSI 7 Layer 입니다.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출범한 모델인데요,

원래 네트워크는 미국에서 전쟁을 대비하기 위한 통신망 구축을 목적으로 형성되었습니다.

이 것을 ARPAnet 이라고 칭합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7a0087f762ac4c8d9ff9aed1607b8395

 

네이버 국어사전

3개의 한국어 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상세검색, 맞춤법, 보조사전

ko.dict.naver.com

위 링크는 ARPnet의 사전의미를 보여줍니다.(네이버 백과사전)

 

원래는 모든 군사자료를 미국 국방부 중앙서버에 관리하려 했습니다. 그 러 나

"중앙서버에 핵폭탄이 떨어지면 어떡하는가?" 라는 의견이 제시됩니다.

 

결국 ARPAnet을 구축하여 미국의 4개 대학과 연구소에 서버를 추가 설치 및 상호 연결하였고,

이 것이 점점 확대되어 민간과 군용 네트워크가 분리됩니다.

 

이 때 통신망에 대한 규약(Protocol)을 지정하기 위해 OSI 7 Layer가 출범됩니다.

 

여기서 Protocol이란 상호간의 약속을 의미합니다. 영어처럼 세계 공용어를 지정하여 메뉴얼화 하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OSI 7 Layer의 배경이였고, 아래는 그 계층입니다.

OSI 7 Layer는 이름과 같이 7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자의 뚜렷한 역할을 지닙니다.

7계층 응용 계층 데이터의 응용 프로세스 제공 및 지원(FTP, HTTP 등)
6계층 표현 계층 데이터 표현에 대한 사항(암/복호화 등)
5계층 세션 계층 연결 성공에 대한 통신 관리방안에 대한 사항)
4계층 전송 계층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결방식 지정(TCP/UDP 등)
3계층 네트워크 계층 타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사항(IP 등)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연결 단말간 데이터 전송에 대한 사항(오류제어 등)
1계층 물리 계층 전기/물리적 사항에 대한 사항

 

이 OSI 7 Layer를 간소화 하여 실무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TCP/IP 4계층입니다. 

OSI 7계층 TCP/IP 4계층
7계층 응용계층 4계층 응용 계층
6계층 표현 계층
5계층 세션 계층
4계층 전송 계층 3계층 전송 계층
3계층 네트워크 계층 2계층 인터넷 계층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1계층 네트워크 접근 계층
1계층 물리 계층

아래와 같이 묶여진 것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OSI 1~2계층 = TCP/IP 1계층

OSI 3계층 = TCP/IP 2계층

OSI 4계층 = TCP/IP 3계층

OSI 5~7 계층 = TCP/IP 4계층

 

오늘은 정말 간단하게 네트워크 등장의 배경, OSI/7계층 및 TCP/IP 4계층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엔, OSI 7 계층 및 TCP/IP계층 별 기능과 사용 단위 등의 세부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 개념 - 2로 찾아 뵙겠습니다.

'Infra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ra_NW] 네트워크 개념 - 2  (0) 2022.08.15
GNS3 IOS 이미지 적용  (0) 2022.07.23
GNS3 설치하기  (0) 2022.07.23

안녕하세요. GNS3 사용을 위해 IOS 이미지를 적용하겠습니다.

 

GNS3의 네트워크 장비 이미지 파일은 Cisco 장비만 지원하지 않는다 합니다. 

필요하신 템플릿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글에선 Cisco장비의 내용을 다루겠습니다.

 

오늘 실습에 사용할 image 파일은 아래 링크에서 받아주시길 바랍니다.

https://mega.nz/#!oI022IJS!uGSIiSiRHjVzIwSPvkw8oxM25ORYpr2NxpTR5tIfvkc

 

MEGA

MEGA provides free cloud storage with convenient and powerful always-on privacy. Claim your free 20GB now

mega.nz

 

그 다음 image 파일의 압축을 풀어주시길 바랍니다.

 

이제부터 Image 파일을 적용하겠습니다. GNS3를 실행하신 뒤 Edit → Preferences 를 클릭합니다.

 

Dynamips → IOS Routers → New를 클릭합니다.

 

각자의 환경에 맞게 Server type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필자는 VM을 사용합니다.)

사전에 다운받은 image를 Browse 합니다.

 

자신이 선택한 플랫폼을 확인 후 Next

메모리 용량 확인 후 Next

 

Network Adapter 모듈을 장착하는 화면입니다. 추후 설정이 가능하니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Idel-PC Finder 클릭 후 Finish

새로운 라우터가 추가 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시간엔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토폴로지를 구성하겠습니다.

'Infra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ra_NW] 네트워크 개념 - 2  (0) 2022.08.15
[Infra_NW] 네트워크 개념 - 1  (0) 2022.08.10
GNS3 설치하기  (0) 2022.07.23

안녕하세요. 오늘은 GNS3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GNS3는 가상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인데요. 흔히 아는 Cisco Packet Tracer와는 다르게 이미지 파일을 읽어들입니다.

이는 Host PC에 설치된 Virtual Machine과 연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일단, GNS3의 공식 홈페이지입니다.

https://www.gns3.com/

 

https://www.gns3.com/

Incompatible Browser! Looks like you're using an older browser. To get the best experience, please upgrade. UPGRADE MY BROWSER

www.gns3.com

홈페이지 접속 후 Free Download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의 OS에 맞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GNS 다운로드 화면

저는 Windows OS에서 사용하기 위해 이를 다운로드 하겠습니다.

 

버튼을 누르면, 회원가입을 하라는 창이 출력됩니다.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GNS 웹사이트 회원가입 화면

 

회원가입 진행 후 다시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다운로드 된 install 파일을 실행합니다.

 

GNS 설치화면

 

위 처럼 setup 화면이 출력됩니다.

 

자신의 운용 환경에 맞게 설치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필자는 Vmware를 주로 사용합니다.)

 

최종 설치 후의 화면 입니다.
저는 VM을 통해 여러개의 장비를 구성할 것이기에, Run appliances in a virtual machine을 선택해주었습니다.

 

GNS3 VM에 대해 먼저 다운로드 받아야합니다. downloaded here을 클릭하여 GNS VM을 다운받아 봅시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Vmware를 실행한 뒤 Import를 해봅시다.

 

Import 후 실행된 GNS는 위와 같습니다.

다시 설치화면으로 돌아와서 Refresh를 클릭하면, VM과 연동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쭉 Next를 누르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다음은 GNS3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nfra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ra_NW] 네트워크 개념 - 2  (0) 2022.08.15
[Infra_NW] 네트워크 개념 - 1  (0) 2022.08.10
GNS3 IOS 이미지 적용  (0) 2022.07.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