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통신의 기초가 되는 네트워크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네트워크라는 단어는 무궁무진합니다.
정의 자체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연결과정을 뜻하기에 수많은 예시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모두에게 개방되어 일상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2. 사내 데이터를 주고받는 폐쇄적인 인트라넷
3. 자료를 생성하는 것부터 송신/수신하는 행위들
이것은 다 네트워크 개념안에 포함됩니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가장 기반이 되는 개념이 OSI 7 Layer 입니다.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출범한 모델인데요,
원래 네트워크는 미국에서 전쟁을 대비하기 위한 통신망 구축을 목적으로 형성되었습니다.
이 것을 ARPAnet 이라고 칭합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7a0087f762ac4c8d9ff9aed1607b8395
네이버 국어사전
3개의 한국어 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상세검색, 맞춤법, 보조사전
ko.dict.naver.com
위 링크는 ARPnet의 사전의미를 보여줍니다.(네이버 백과사전)
원래는 모든 군사자료를 미국 국방부 중앙서버에 관리하려 했습니다. 그 러 나
"중앙서버에 핵폭탄이 떨어지면 어떡하는가?" 라는 의견이 제시됩니다.
결국 ARPAnet을 구축하여 미국의 4개 대학과 연구소에 서버를 추가 설치 및 상호 연결하였고,
이 것이 점점 확대되어 민간과 군용 네트워크가 분리됩니다.
이 때 통신망에 대한 규약(Protocol)을 지정하기 위해 OSI 7 Layer가 출범됩니다.
여기서 Protocol이란 상호간의 약속을 의미합니다. 영어처럼 세계 공용어를 지정하여 메뉴얼화 하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OSI 7 Layer의 배경이였고, 아래는 그 계층입니다.
OSI 7 Layer는 이름과 같이 7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자의 뚜렷한 역할을 지닙니다.
7계층 |
응용 계층 |
데이터의 응용 프로세스 제공 및 지원(FTP, HTTP 등) |
6계층 |
표현 계층 |
데이터 표현에 대한 사항(암/복호화 등) |
5계층 |
세션 계층 |
연결 성공에 대한 통신 관리방안에 대한 사항) |
4계층 |
전송 계층 |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결방식 지정(TCP/UDP 등) |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
타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사항(IP 등) |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연결 단말간 데이터 전송에 대한 사항(오류제어 등) |
1계층 |
물리 계층 |
전기/물리적 사항에 대한 사항 |
이 OSI 7 Layer를 간소화 하여 실무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TCP/IP 4계층입니다.
OSI 7계층 |
TCP/IP 4계층 |
7계층 |
응용계층 |
4계층 |
응용 계층 |
6계층 |
표현 계층 |
5계층 |
세션 계층 |
4계층 |
전송 계층 |
3계층 |
전송 계층 |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
2계층 |
인터넷 계층 |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1계층 |
네트워크 접근 계층 |
1계층 |
물리 계층 |
아래와 같이 묶여진 것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OSI 1~2계층 = TCP/IP 1계층
OSI 3계층 = TCP/IP 2계층
OSI 4계층 = TCP/IP 3계층
OSI 5~7 계층 = TCP/IP 4계층
오늘은 정말 간단하게 네트워크 등장의 배경, OSI/7계층 및 TCP/IP 4계층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엔, OSI 7 계층 및 TCP/IP계층 별 기능과 사용 단위 등의 세부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 개념 - 2로 찾아 뵙겠습니다.